교수소개
부교수
2011.02.25 서울대학교 (공학박사)
2004.12.22 Univ. of Pennsylvania (MA)
2001.02.26 서울대학교 (공학석사)
1999.02.26 서울대학교 (공학사)
-
분천마을의 지속가능한 철도 기반 관광 활성화를 위한 설계 연구,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, 제19권(집) , 제8호 , PP.95~108 , 2024.12.31
노량진로 주변의 수평적 도시조직의 형성과정에 관한 연구, 예술· 디자인학연구 , 제27권(집) , 제2호 , PP.115~124 , 2024.12.31
장 프루베 프리팹 주택에서 유연성을 위한 건축 시스템 연구,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, 제19권(집) , 제3호 , PP.309~320 , 2024.04.30
교통문화복합화 시설 설계 연구,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, 제19권(집) , 제1호 , PP.99~112 , 2024.02.29
친환경 장례 방법 기반 도심형 장사시설 설계 연구,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, 제18/7권(집) , 제92호 , PP.385~396 , 2023.10.31
마르셀 브로이어의 주택 대량생산을 위한 “소규모 주택” 연구,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, 제18권(집) , 제3호 , PP.405~414 , 2023.04.30
거주자에 의한 여의도 시범아파트 주거 공간 변형의 건축적 특성 연구, 대한건축학회논문집 , 제38권(집) , 제12호 , PP.99~106 , 2022.12.30
PR 공간이 결합된 복합사옥 설계에 관한 연구 - 스포츠브랜드 사옥을 중심으로 -,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, 제17권(집) , 제7호 , PP.63~72 , 2022.10.31
인천도서지역에서 교회와 커뮤니티시설 복합화 연구,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, 제17권(집) , 제1호 , PP.121~133 , 2022.02.28
1950년대 대한주택영단 평면에서 거실의 위상과 역할 연구,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, 제16권(집) , 제8호 , PP.145~154 , 2021.12.31
도시재생 활성화 기반 수해 피해 저감 계획에 관한 연구,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, 제15권(집) , 제8호 , PP.61~72 , 2020.12.31
여의도 시범아파트 단지의 도시적 경계공간 연구,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, 제15권(집) , 제8호 , PP.87~98 , 2020.12.31
Conflicting ideals and realities: the architecture of South Korea’s first high-rise housing complex, Journal of Architecture , 제25권(집) , 제6호 , PP.736~758 , 2020.08.17
조지 프레드 켁의 1933년 시카고 박람회 전시주택 연구,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, 제15권(집) , 제3호 , PP.249~258 , 2020.04.30
노이트라 주택에서 자연의 경험 변화 연구,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논문집 , 제69호 , PP.133~140 , 2020.02.28
한강다리 하부 공간의 활성화 전략에 관한 연구,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, 제14권(집) , 제4호 , PP.239~248 , 2019.08.31
프랭크 로이드 라이트의 적정 주택에 나타난 통합성 연구,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, 제2018, vol.13,no.5권(집) , 제통권53호호 , PP.91~102 , 2018.10.31
그레고리 에인의 전후 대량공급주택으로서 “소규모 주택” 연구,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논문집 , 제59호 , PP.112~119 , 2017.08.31
1929년 조선박람회에서 나타난 근대적 경험에 관한 연구,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논문집 , 제59호 , PP.65~73 , 2017.08.31
공간정보체계를 활용한 뉴욕시 워터프런트 종합계획의 도시계획 특성 분석, KIBIM Magazine , 제7권(집) , 제1호 , PP.9~17 , 2017.03.31
스밋슨 부부의 대량생산 실험주택 연구, 문화공간연구-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논문집 , 제57권(집) , PP.44~51 , 2017.02.28
산업유산 재생 설계공모에서 시민참여방안 연구 - 서울시 마포석유비축기지와 서울역 고가 사례를 중심으로, 한국BIM학회논문집 , 제6권(집) , 제4호 , PP.1~8 , 2016.12.31
USING AN EYE TRACKER TO STUDY THREEDIMENSIONALENVIRONMENTAL AESTHETICS:THE IMPACT OF ARCHITECTURAL ELEMENTSAND EDUCATIONAL TRAINING ON VIEWERS’VISUAL ATTENTION, JOURNAL OF ARCHITECTURAL AND PLANNING RESEARCH , 제32권(집) , 제2호 , PP.145~167 , 2015.09.30
An Architect's Adaptation to the Mass Production System: A. Quincy Jones's Tract Houses, Journal of Asian Architecture and Building Engineering , 제14권(집) , 제3호 , PP.561~568 , 2015.09.15
The Complementary Relationship between Architecture and Topography: Focus on the Performa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Houses of Kim Incheurl and Topography, Journal of Asian Architecture and Building Engineering , 제14권(집) , 제2호 , PP.271~278 , 2015.05.15
미술관의 입구, 사람의 무늬 , 2016.09.26
THE FAR GAME: Constraints Sparking Creativity, 공간서가 , 2016.05.01
2023.01.27 / 동대문디자인플라자 협력전시 / 일상화된 건축의 관찰과 기록 / 대한민국/ 서울디자인재단
2022.05.31 / 00건축 - 즐거운 공간 산책자 / 00건축 - 즐거운 공간 산책자 전시 큐레이터 / 대한민국/ 서울도시건축비엔날레
2021.04.26 / 2021 AIK International Architecture Exhibition / Voluntarily Evolving Living Infrastructure / 대한민국/ 대한건축학회