교수소개
교수
2002.08.28 서울대학교 (공학박사)
1998.02.25 서울대학교 (공학석사)
1995.08.23 성균관대학교 (공학사)
-
도시 물환경을 고려한 해양생태 R&D 연구문화단지 계획방향 연구,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논문집 , 제86호 , PP.79~86 , 2024.05.31
도시 물환경에 대응하는 통합적 워터프론트 공간계획 ,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논문집 , 제83호 , PP.78~85 , 2023.08.31
리질리언스 관점에서 본 샌안토니오 워터프론트의 친수상업문화공간 특성 연구,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논문집 , 제82호 , 2023.05.31
Integrated Waterfront Design Direction for Port Industrial City Regeneration Through Waterfront Land Use and Water-dependent Public Facilities of False Creek Vancouver,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, 제38권(집) , 제7호 , PP.3~12 , 2022.07.01
물 중심의 시화호 워터프론트시티 디자인 전략,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논문집 , 제78호 , PP.178~186 , 2022.05.31
산업유휴부지를 활용한 문화창의산업단지의 문화적 경제적 효과 연구 ,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논문집 , 제74권(집) , PP.37~44 , 2021.05.31
A Direction of Cultural and Environmental Space Planning on the Waterfront through the cases of De Ceuvel and Walsh Bay,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, 제36권(집) , 제11호 , PP.35~46 , 2020.11.30
워터프론트 도시재생을 위한 공간 · 환경적 스마트시티 성장 전략,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논문집 , 제71권(집) , PP.167~174 , 2020.08.31
사회-참여 중심의 스마트도시 성장 전략,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, 제16권(집) , 제2호 , PP.291~298 , 2020.06.30
유휴산업시설을 활용한 복합문화공간의 지속운영 가능한 재생 방향 연구,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, 제14권(집) , 제7호 , PP.87~98 , 2019.12.31
산업항만지역의 재생을 통한 워터프론트 문화도시 통합계획,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, 제15권(집) , 제2호 , PP.175~185 , 2019.06.28
빛ㆍ형태ㆍ재료 네트워크 측면에서의 공간계획 특성 -사회적 특성을 고려한 인간중심의 알바알토 작품분석,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, 제15권(집) , 제1호 , PP.121~132 , 2019.03.29
기술∙사회적 특성을 고려한 워터프론트 도시의 리질리언트 공간계획 ,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, 제14권(집) , 제3호 , PP.352~359 , 2018.09.28
교육시설의 공공성과 공원과의 연계성에 관한 연구 , 청소년시설환경 , 제16권(집) , 제2호 , PP.69~78 , 2018.05.31
지역커뮤니티를 위한 건축공간 계획방향 연구-연구∙교육 활성화를 위한 도서관 정보공간 계획,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, 제14권(집) , 제1호 , PP.51~58 , 2018.03.30
환경ㆍ문화적 네트워크에 의한 워터프론트 커뮤니티통합디자인 - 글라스고 클라이드강 재생사례를 통한 디자인방안 제안 , 도시설계 , 제18권(집) , 제2호 , PP.93~110 , 2017.04.28
워터프론트도시 공간조성방안 연구 - 워터프론트 대학의 지속가능 캠퍼스를 중심으로 ,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, 제13권(집) , 제1호 , PP.6~14 , 2017.03.31
뉴욕 액티브 디자인 가이드라인 분석을 통해 본 청소년신체활동을 위한 건축 및 공간계획방향, 청소년시설환경 , 제14권(집) , 제2호 , PP.131~138 , 2016.05.31
인천시 남동구 고등학교의범죄예방디자인(CPTED) 개선방안 연구, 청소년시설환경 , 제14권(집) , 제2호 , PP.121~129 , 2016.05.31
송도 경제자유구역 교육시설의 공공공간 계획방향 연구, 청소년시설환경 , 제14권(집) , 제1호 , PP.133~139 , 2016.02.29
인천 송도경제자유구역 교육시설의 공공공간 계획방향 연구, 청소년시설환경 , 제14권(집) , 제1호 , PP.133~139 , 2016.02.01
시계열 자료 분석에 의한 4대 사회안전지표 변화 추이,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, 제11권(집) , 제4호 , PP.634~638 , 2015.12.15
기후변화 대응 공공을 위한 수변도시계획 방향 -뉴욕과 보스톤의 현상공모안 연구,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, 제31권(집) , 제11호 , PP.39~50 , 2015.11.30
dToF방식을 이용한 초음파 수도미터 설계 및 구현, 한국정보기술학회논문지 , 제13권(집) , 제4호 , PP.17~26 , 2015.04.30
공공을 위한 보스톤 하버 워터프론트 계획방향 연구,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, 제31권(집) , 제2호 , PP.99~110 , 2015.02.27
중등학교 복합화시설 계획방향 연구, 교육시설 , 제21권(집) , 제4호 , PP.3~10 , 2014.07.31
특성화고등학교의 공공공간 계획방향 연구, 한국위기관리논집 , 제10권(집) , 제7호 , PP.161~182 , 2014.07.31
항만수변도시의 공공디자인 계획방향 연구,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, 제29권(집) , 제02호 , PP.55~64 , 2013.02.28
공공공간을 고려한 수변공동주택 계획 방향 - 런던 도크랜드 사례를 중심으로, 도시설계 , 제13권(집) , 제2호 , PP.5~18 , 2012.04.30
중등학교 시설에서의 커뮤니티공간 연구, 교육시설 , 제19권(집) , 제1호 , PP.3~12 , 2012.01.31
주거, 문화, 오픈스페이스를 고려한 암스테르담 이스턴하버지역 수변개발 특성 연구, 대한건축학회논문집 , 제26권(집) , 제6호 , PP.209~218 , 2010.06.15
빌바오 아반도이바라, 바라칼도, 아메졸라 사레를 통해 본 문화기반 하버프로트 재생방안 연구, 대한건축학회논문집 , 제26권(집) , 제1호 , PP.147~158 , 2010.01.15
운동성 개념을 통해 본 수변문화공간 디자인특성, 대한건축학회논문집 , 제25권(집) , 제11호 , PP.3~12 , 2009.11.30
도시재생과 지역활성화를 위한 버밍엄 브린들리플레이스 수변복합개발 특성, 대한건축학회논문집 , 제24권(집) , 제3호 , PP.33~42 , 2008.03.30
공동주택 평면계획의 다양성 연구 -베를린국제건축전 평면유형 분석-, 대한건축학회논문집 , 제23권(집) , 제8호 , PP.11~20 , 2007.08.31
저탄소 녹색성장과 도시디자인, 상상디자인 , 2011.02.15
명품도시디자인, 상상디자인 , 2009.10.01
국방시설 설계기준, 국방부 , 2004.05.01
2023.11.04 / 한국건축설계학회졸업설계대회 / 재래시장 / 대한민국/